지속적 개선이란 무엇입니까?

Max Rehkopf 작성자: Max Rehkopf
주제 찾아보기

지속적 개선이란 성과를 분석하고 기회를 식별하고 프로세스, 제품, 직원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지속적 프로세스입니다.

W. Edwards Deming이 처음으로 지속적 개선이라는 아이디어를 대중화했을 때 이 개념은 다양한 접근 방식이 일반적인 혁신의 문화에 기여하는 광범위한 철학이었습니다. 오늘날 지속적 개선은 린, 애자일, 6 시그마, 전체적인 품질 관리와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 관리 철학의 기본적인 개념입니다.

지속적 개선 모델

지속적 개선 모델은 일상적인 직장 생활에 지속적 개선을 통합하는 방법입니다. 지속적 개선 모델은 지속적 개선의 가치를 실천하려는 기업에 구조, 관행, 도구를 제공합니다. 팀이 탐색할 수 있는 세 가지 지속적 개선 모델은 린, 칸반, 스크럼입니다.

린 및 지속적 개선

린이란 낭비를 없애서 효율성을 높이도록 설계된 일련의 관리 원칙입니다. 린에서는 지속적 개선을 카이젠이라고 하며 이것은 여러분이 하는 모든 일에서 완벽을 향한 끊임없는 노력입니다. 카이젠은 일본에서 유래했으며 Toyota 생산 시스템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린 내에서의 지속적 개선은 낭비되는 활동을 최대한 없애면서 고객에게 가장 큰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향상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칸반 및 지속적 개선

칸반은 팀이 지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도와주는 애자일 방법론입니다. 칸반 보드는 팀이 작업을 시각화하여 블로커를 찾아내고 일을 진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칸반 팀은 WIP 제한 또는 대역폭에서 가능할 때마다 자유롭게 작업을 워크플로에 “끌어올” 수 있습니다. 높은 유연성 덕분에 칸반 팀은 작업 및 작업 방식에 지장을 주지 않고 개선 노력의 우선 순위를 빠르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스크럼 및 지속적 개선

지속적 개선과 연결 짓는 경우가 드문 애자일 방법론은 바로 스크럼입니다. 스크럼은 개선 사항의 점진적인 제공과 고객 피드백의 신속한 통합에 초점을 맞추므로 지속적 개선 방법에 아주 적합합니다. 스프린트 검토 및 스프린트 회고와 같은 스크럼 세레모니를 통해 팀은 스프린트마다 작업을 더 개선하는 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

제품 백로그 및 스프린트 백로그와 같은 스크럼 아티팩트는 스프린트에서 가장 중요한 개선 사항만 우선 순위로 지정되도록 합니다. 스크럼을 지속적 개선과 연결 짓는 경우가 드문 이유는 스크럼은 소프트웨어 개발 팀과 강한 관련이 있으며 지속적 개선은 보통 비즈니스 및 제조 팀에 중점을 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둘을 더 가깝게 모으면 많은 가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속적 개선 도구 및 방법론

일상적인 작업에 지속적 개선을 통합하려면 개선 중심의 사고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는 도구 및 관행을 채택해야 합니다. 지속적 개선을 위한 최고의 도구는 실제 작업과 나란히 있으며 여러분이 여러 번 다시 사용하는 도구가 곧 모범 사례가 됩니다.

회고

지속적 개선의 문화를 만들기 위해 추가해야 할 첫 번째 도구는 분명히 애자일 회고일 것입니다. 팀 회고는 무엇이 잘 진행되었고 무엇을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한 대화의 문을 열어줍니다. 많은 팀은 프로젝트를 마무리한 후에 회고를 진행하거나 특정 순간에 중점을 둔 일회성 회고를 선택합니다. 가장 효과적인 팀은 특정한 일이 일어나는 것과 관계없이 회고 회의를 정기적으로 진행합니다. 격주로 회고를 진행하는 것은 지속적 개선의 길을 나아가기 위한 확실한 방법입니다.

PDCA(계획-실행-확인-행동)

PDCA(계획-실행-확인-행동)는 지속적 개선 모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계획”은 기회를 찾아내고 변화를 계획할 기회입니다. “실행”은 변경 사항을 소규모로 구현하는 것입니다. “확인”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변경 사항의 결과를 분석하고 차이를 만들어냈는지 확인하는 프로세스입니다. “행동”은 변화를 더 폭넓게 적용하고 결과를 계속하여 평가하는 것입니다. 한 단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소프트웨어 팀은 “기능 플래그 지정”을 통해 새 기능을 시작할 때 PDCA 루프를 실행합니다. 기능 플래그 지정은 제한적인 테스트를 통해 실제 고객 중 일부에게만 새 기능을 배포하는 프로세스입니다. 테스트는 테스트 대상 고객이 새 기능을 사용하지 않은 고객보다 더 성공적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한 후 팀은 모두에게 해당 기능을 배포하여 "행동"을 진행합니다

5가지 이유 또는 근본 원인 분석

아이들이 부모에게 계속 “왜요?”라고 물어볼 때는 중요한 무언가를 발견하기 위해 그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가지 이유는 인기 있는 근본 원인 분석 기법으로, 이유를 계속 질문하다 보면 5번 이하의 질문으로 근본 원인아 밝혀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근본 원인 분석은 증상보다는 근본 원인에 개선 노력을 집중시키므로 지속적 개선에 유용합니다.

카이젠 및 카타

가장 높은 유연성을 추구하는 경우 카타 및 카이젠이라는 개선 철학에 프로세스의 기반을 둘 수 있습니다. 개선 카타는 동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만들기 위한 4단계 프로세스입니다. 칸반 보드를 사용하여 4단계의 진행률을 추적하면 팀이 계획대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카이젠의 10가지 원칙은 지속적 개선의 여정에 영감을 불어넣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프레임워크입니다.

지속적 개선에 Jira 및 Confluence를 사용하는 방법

작업에 지속적 개선을 더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지속적 제공을 위해 설계된 도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Jira 칸반 보드는 이 문서에서 설명한 여러 유형의 워크플로를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하면서도 작업을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구조적입니다. Confluence에는 회고5가지 이유를 대면 및 원격 팀 회의에서 효율적인 경험으로 만들어줄 준비가 된 템플릿이 있습니다.

다음 단계
린 원칙